티스토리 뷰
목차
"며칠만 지나도 연체료 붙는다던데... 진짜예요?"
재산세 고지서를 받고도 바쁜 일정에 미루다 보면 어느새 납부 기한을 넘기기 쉽습니다.
그런데 단순한 연체가 아니라 가산금 부과, 자동 압류 등록까지 이어질 수 있다는 사실, 알고 계셨나요?
특히 요즘처럼 세금 부담이 큰 시기에는
납부 기한을 놓치면 어떤 불이익이 생기는지,
늦었을 때는 어떻게 대응해야 하는지
정확히 아는 것이 손해를 막는 첫걸음입니다.
지금부터 재산세 납부 지연 시의 불이익,
그리고 부과 기준과 해결 방법까지 하나씩 정리해드립니다.
납부 기한 지나면 바로 불이익?
재산세는 납부 기한이 지나면 단순히 ‘미납’ 상태가 아니라,
법적으로 불이익이 자동 부과되는 구조입니다.
주요 불이익은 다음과 같습니다.
- 가산금 부과 (3%)
- 중가산금(매월 0.75%, 최대 60개월)
- 부동산 자동 압류 등록
- 신용도 영향 없음 (단, 체납 기간 길어질 경우 금융정보공유 가능)
예를 들어, 재산세 100만 원을 한 달 늦게 내면 최소 3만 750원이 추가로 발생합니다.
게다가 체납이 1년 이상 지속되면, 지자체에서 공매 처분까지 가능해집니다.
납부 기한은 언제까지?
재산세는 7월과 9월, 두 차례에 걸쳐 고지됩니다.
고지 대상 | 고지 시기 | 납부 기한 |
---|---|---|
주택분/건축물분/선박분 | 7월 16일 전후 | 7월 31일까지 |
토지분/주택분(나머지) | 9월 16일 전후 | 9월 30일까지 |
고지서에는 납부 기한이 명시되어 있으며,
기한은 공휴일과 관계없이 날짜 기준으로 계산됩니다.
가산금은 어떻게 계산되나?
가산금은 크게 두 가지로 나뉩니다.
- 기본 가산금: 납부 기한이 지난 날로부터 3%
- 중가산금: 체납 후 1개월부터 매월 0.75%씩 최대 60개월까지
즉, 장기간 체납할수록 누적되는 가산금 규모가 커집니다.
💡 예시 계산:
체납 기간 | 가산금 합계 (100만 원 기준) |
---|---|
1개월 | 3만 750원 |
6개월 | 약 4만 8750원 |
1년 | 약 9만 3750원 |
자동 압류 등록, 생각보다 빠릅니다
재산세는 지방세입니다.
지방자치단체(시·군·구)는 독자적으로 압류를 집행할 수 있는 권한을 가집니다.
체납 후 일정 기간이 지나면 별도 고지 없이 다음 단계로 넘어갑니다:
- 가산금 부과
- 압류 예고서 발송
- 예금, 부동산, 자동차 등 압류 등록
- 공매 처분 절차 진행
압류는 세대주 기준의 명의로 연결된 부동산, 차량, 통장 등에 자동 연동되며,
공공기관과 금융기관 간 정보 공유로 인해 별도 판결 없이 집행 가능합니다.
납부 기한 놓쳤을 때 해결 방법
기한을 넘긴 경우, 무조건 가산금이 붙긴 하지만 빠르게 조치하면 피해를 줄일 수 있습니다.
- 즉시 납부: 기한 경과 후 하루라도 빨리 납부하면 중가산금은 피할 수 있습니다.
- 분할 납부 신청: 일정 금액 이상 체납 시 분할 납부 가능 (지자체 세무과 문의)
- 체납처분 유예 요청: 일시적 어려움으로 납부 곤란한 경우 신청 가능
- 압류 해제 요청: 압류된 계좌나 부동산은 납부 완료 후 해제 요청해야 복원됨
이 중 가장 효과적인 방법은 빠른 납부 + 분할 신청입니다.
단, 분할 납부는 모든 지자체에서 적용되는 건 아니므로 미리 확인이 필요합니다.
납부 방법과 채널 안내
재산세는 다음 채널을 통해 납부할 수 있습니다:
- 위택스
- 지방세입계좌이체 (가상계좌 포함)
- 카드 납부 (ARS, 인터넷, 앱 등)
- 스마트위택스 앱
- 지자체 세무서 방문 납부
특히 카드 납부 시 일부 카드사는 포인트 적립, 캐시백 이벤트를 제공하므로
납부만 잘해도 혜택을 챙길 수 있습니다.
실수하기 쉬운 납부 오류
- 계좌이체 예약일을 넘김 → 당일 납부 처리 안 됨
- 가상계좌 금액 오입력 → 입금 후에도 납부 처리 안 됨
- 다른 세대원이 납부 → 확인 안 되면 체납으로 간주될 수 있음
- 신청 이벤트 누락 → 카드 혜택 못 받는 경우 다수 발생
마무리하며
재산세는 납부 기한이 단순한 마감일이 아닙니다.
기한 초과와 동시에 가산금이 부과되고, 지자체에 의해 압류 절차가 자동으로 시작됩니다.
하지만 기한이 지났다고 너무 걱정할 필요는 없습니다.
빠르게 납부하고, 카드 납부 혜택까지 활용한다면
불이익은 줄이고 혜택은 챙기는 전략도 가능합니다.
혹시 아직 카드로 재산세를 납부하지 않으셨다면,
아래 글을 통해 카드사별 이벤트 혜택도 꼭 확인해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