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반응형

    비행기 탑승 시 상비약 반입 기준
    비행기 탑승 시 상비약 반입 기준

     

    비행기 탈 때 약 가지고 타도 되냐고요?


    특히 해외여행 갈 때 감기약, 소화제, 멀미약 같은 상비약 반입이 가능한지 헷갈릴 수밖에 없습니다.

     

    실제로 공항 보안 검색대에서 약 때문에 제지당하는 사례가 종종 발생합니다.


    그런데 이건 ‘몰라서’ 생기는 문제인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해외여행 전, 약 준비가 왜 중요한가?

     

     

    해외여행 중 가장 불안한 순간은 몸이 아플 때입니다.


    언어도 통하지 않고, 병원도 찾기 어렵고, 보험 적용도 제한되는 낯선 환경.

    이럴 때를 대비해 기내에 상비약을 미리 챙겨 두는 것
    현명한 여행자의 기본 전략입니다.

     

    하지만 막상 준비하려고 보면 고민이 생기죠.

     

    • 약을 기내에 들고 타도 되는지
    • 수하물로 보내야 하는 건 아닌지
    • 처방전이 꼭 필요한 건지

    이런 질문은 미리 체크하지 않으면, 출국 당일 불편함으로 돌아올 수 있습니다.


    ▶ 기내 반입 가능한 상비약 리스트 보기


    기내 반입 가능한 상비약 기준

     

     

    기본적으로 기내 반입이 가능한 약의 조건은 다음과 같습니다.

     

    1. 정제, 캡슐 형태의 약

     

    • 감기약, 진통제, 멀미약, 소화제 등
    • 개봉된 약도 가능하지만, 약 이름이 명확히 표기되어 있어야 함
    • 알약통이나 지퍼백에 담기만 하면 검역에서 오해받을 수 있음

    2. 액체 형태의 약

     

    • 100ml 이하의 용기에 담긴 액체만 가능
    • 점안액(안약), 코 스프레이, 액상 소화제 등
    • 지퍼백에 넣어 보안검색 시 분리 제출 필수

    3. 주사제, 인슐린 등

     

    • 의사 처방전 또는 영문 진단서 필요
    • 냉장 보관이 필요한 경우는 사전 항공사 문의 필요
    • 주사기류는 일부 항공사에서 제한이 있을 수 있음

    4. 한약, 영양제

     

    • 진공 포장된 탕약은 100ml 규정에 해당
    • 알약, 분말 형태는 반입 가능
    • 다만 성분에 따라 세관 통제 가능성 있으므로 주의

    처방전이 필요한 경우는 언제?

     

     

    감기약, 진통제, 비타민 등은 일반의약품으로 분류돼 처방전 없이 반입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향정신성 약물, 스테로이드, 호르몬제, 항우울제 등
    해외 반출입 시 처방전이나 영문 진단서가 반드시 필요합니다.

     

    특히 다음 약물은 각국 통관 기준에 민감하게 반응합니다.

     

    • ADHD 치료제
    • 수면제 (졸피뎀 등)
    • 항불안제 (디아제팜, 알프라졸람 등)
    • 마약성 진통제 (트라마돌 등)

    이 경우, 1개월 복용분 이내만 허용되는 국가도 많으며
    의사소견서가 없다면 압수 또는 벌금 대상이 될 수 있습니다.


    상비약 준비 시 주의할 점

     

     

    • 약 봉투 또는 약 포장지 원형 보존 필수
    • 약 이름, 성분, 복용법이 표시된 상태 유지
    • 여러 약이 섞여 있는 통은 불명확한 약물로 처리될 수 있음
    • 어린이용 약품도 포장 정보가 남아 있어야 안전

    ※ 공항 보안 검색대에서는 무조건 약을 꺼내 보여줄 준비를 하세요.
    지퍼백에 정리해 별도로 꺼낼 수 있어야 빠르게 통과됩니다.


    그럼 수하물에 넣으면 안 되는 약도 있을까?

     

     

    사실 대부분의 약은 기내 반입과 수하물 모두 가능합니다.


    하지만 고온, 충격, 압력에 민감한 약은 수하물에 넣으면 손상될 수 있습니다.

     

    특히 항공기 화물칸의 온도는 영하로 떨어지는 경우도 있어
    인슐린, 탕약, 젤 형태 약품은 기내로 반입하는 것이 안전합니다.


    이외에도 주의할 수하물 금지 품목은?

     

     

    기내에 반입할 수 있는 상비약은 위처럼 어느 정도 가이드라인이 정해져 있지만,
    수하물에 넣으면 안 되는 의외의 물품도 많습니다.

     

    특히 해외에서는 단순한 생활용품도 위험물로 분류될 수 있고,
    예외 없이 압수되는 사례가 매년 반복되고 있습니다.

     

    ▶ 국제선 수하물 금지물품 목록과 예외 규정


    나라별 약 반입 기준은 다를 수 있습니다

     

     

    한국에서는 일반의약품으로 인정받는 약이
    다른 나라에서는 규제 대상 또는 금지 약물일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 싱가포르, UAE: 수면제, 항불안제 반입 매우 엄격
    • 일본: 일부 감기약(슈도에페드린 성분) 제한
    • 호주, 뉴질랜드: 영문 처방전 요구

    여행 국가의 약물 반입 규정은 반드시 출국 전에
    해당 대사관, 항공사, 관세청 사이트 등을 통해 확인해야 합니다.


    마무리하며

     

     

    기내에 상비약을 챙겨 가는 건 단순히 준비성이 아니라
    예기치 못한 상황을 피하는 유일한 방법일 수 있습니다.

     

    국가마다 규정은 다르지만,
    기본적인 약물 분류, 용량 규정, 보관 조건만 정확히 알고 있다면
    공항에서 불필요한 제지를 받을 일도, 여행 중 불편을 겪을 일도 줄어듭니다.

     

    출국 전 상비약 체크리스트를 만들어두세요.


    여행지에서 몸이 불편해졌을 때,
    그 준비가 얼마나 소중했는지 실감하게 될 것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