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스토리 뷰
목차
간단한 이미지 하나도 직접 만들어야 하는 시대입니다.
썸네일, 블로그 배너, SNS 카드뉴스, 유튜브 썸네일까지.
디자인 툴 없이 콘텐츠를 운영하는 건 이제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특히 마케터나 블로거, 1인 크리에이터들에게는
누구나 쉽게 사용할 수 있는 디자인 툴이 필수입니다.
가장 많이 쓰이는 무료 도구는 바로 미리캔버스와 망고보드.
하지만, 둘 다 써보면 생각보다 차이가 많습니다.
지금 이 글에서
"어떤 툴을 언제 쓰면 좋을지"
실사용자의 관점에서 비교해드립니다.
왜 미리캔버스와 망고보드를 비교해야 하나?
이 두 도구는 단순히 '무료 디자인툴' 그 이상입니다.
이미 수많은 기업과 개인이 사용하고 있고,
템플릿 양과 사용성 측면에서 국내에서는 압도적입니다.
그러나 목적에 따라 맞는 툴이 다릅니다.
예를 들어,
- 블로그 배너 만들기엔 미리캔버스가 직관적이고
- 영상 중심의 카드뉴스 제작은 망고보드가 더 적합합니다.
비슷한 듯 다르고,
겹치는 듯 분명히 갈리는 이 두 툴.
지금부터 사용 목적별로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
미리캔버스: 깔끔하고 직관적인 인터페이스
누구나 쉽게 시작할 수 있는 디자인툴,
이것이 미리캔버스를 설명하는 가장 정확한 문장입니다.
회원가입 후 바로 사용할 수 있고,
템플릿도 워낙 많고 정리가 잘 되어 있습니다.
주요 특징
- 깔끔한 UI (디자인툴 초보자도 무리 없이 사용 가능)
- 썸네일, 포스터, 배너, SNS 콘텐츠에 최적화된 템플릿
- 다양한 폰트, 색상 조합 제안
- 무료 이미지, 아이콘 리소스 다수 제공
단점
- 일부 템플릿이나 요소는 유료(Premium 전용)
- 고화질 이미지 다운로드는 유료 플랜에서만 가능
- 협업 기능은 기업용에만 제한적 제공
망고보드: 콘텐츠 마케팅에 특화된 도구
망고보드는 처음엔 다소 복잡해 보일 수 있습니다.
하지만, 실제 활용해보면 기능의 밀도가 높고,
특히 카드뉴스나 슬라이드 형 콘텐츠 제작에 강점을 가집니다.
주요 특징
- 영상 삽입, 슬라이드 순차형 콘텐츠 제작 가능
- PPT 대체용으로 발표자료 제작 가능
- 다양한 비즈니스용 콘텐츠(브로셔, 보고서 등)
- 템플릿이 마케팅 상황별로 분류되어 있음
단점
- UI가 익숙해지기까지 시간이 필요
- 무료 플랜의 폰트 및 저장 방식에 제한 있음
- 고화질 출력은 유료 전환 필수
템플릿과 리소스 비교
항목 | 미리캔버스 | 망고보드 |
템플릿 수 | 매우 많음 (썸네일, 포스터 등 다양) | 실무용 중심, 카드뉴스·보고서 등 중심 |
폰트 | 다양한 무료 폰트 제공 | 일부 제한 있음 |
이미지 리소스 | 무료 이미지 많음 | 유료 이미지도 일부 포함 |
상업적 사용 | 무료템플릿은 사용 가능, 일부는 제한 있음 | 무료 사용은 제한적, 라이선스 확인 필수 |
※ 라이선스는 각 플랫폼의 ‘상업적 이용 안내’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상업적 사용 시 유의사항
많은 분들이 간과하는 부분입니다.
디자인툴은 무료로 사용할 수 있지만,
그 안에 포함된 이미지, 아이콘, 템플릿 등은
상업적 사용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미리캔버스는 대부분 무료 사용이 가능하지만
‘프리미엄 요소’ 사용 시 라이선스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망고보드는 무료 플랜에서 상업적 사용이 거의 불가능하며
유료 플랜으로 전환해야만 정식 사용이 가능합니다.
블로그, 유튜브, 인스타그램에 업로드할 목적이라면
반드시 각 툴의 라이선스 페이지를 사전 확인하는 것이 좋습니다.
어떤 툴을 선택해야 할까? (사용 목적별 정리)
- 썸네일 / 배너 / 포스터 제작
→ 미리캔버스
→ 빠르고 직관적이며, 스타일이 현대적임 - 영상 콘텐츠 / 카드뉴스 / 발표자료 제작
→ 망고보드
→ 기능이 풍부하고, 콘텐츠 흐름 제작에 강점 - 템플릿 탐색이 빠르고 쉬운 툴
→ 미리캔버스
→ 검색 기능, 카테고리 정리가 훨씬 잘되어 있음 - 비즈니스 보고서나 제안서용 디자인
→ 망고보드
→ 슬라이드형 편집이 탁월하고, 기업 문서용 템플릿이 많음
마무리하며
디자인 툴을 고를 때 가장 중요한 기준은
"무엇을 만들고 싶은가?"입니다.
미리캔버스는
일반 콘텐츠, 썸네일, 블로그용 디자인에 훌륭하고,
망고보드는
마케팅, 교육, 기업용 콘텐츠에 더 어울립니다.
둘 다 무료 플랜이 있으니
지금 바로 실행해서 스스로 비교해보세요.
직접 써보는 것만큼 확실한 선택 기준은 없습니다.
'블로그'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실시간 검색어 사이트 4곳, 블로그 트렌드 분석에 바로 활용하세요 (0) | 2025.07.14 |
---|---|
티스토리 블로그로 애드센스 승인 받는 법 (0) | 2025.06.21 |
가비아 하위도메인 연결하는 법 (0) | 2025.06.19 |
빅카인즈로 키워드 찾는 법 (0) | 2025.06.18 |
오늘의집 앱 제대로 쓰는 방법 (0) | 2025.06.17 |